실학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움직이는 천문과학전

Moving Astronomy and Science Exhibition for the 15th Anniversary of the Museum of Silhak

mobile background

시계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시간을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하늘을 보고 알았습니다. 

해, 달, 별이 움직이며 만들어 낸 무늬가 시간을 알려 줬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해, 달, 별을 오랫동안 관찰해 왔습니다. 

해가 아침에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지는 모습을 보며 해가 한 번 뜨고 지면 하루가 지나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북극을 중심으로 시계의 반대 방향으로 도는 별들을 보며, 계절이 바뀌면 다른 별들이 보인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해, 달, 별의 움직임으로 시간의 흐름을 알았습니다. ≪똑딱똑딱! 해, 달, 별≫ 전시는 옛날 사람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시간을 계산할 때 사용한 다양한 기구를 소개합니다. 특히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기구를 살펴봅니다. 

해, 달, 별의 위치를 확인하는 혼천의, 별자리를 나타낸 천구의와 천문도, 시간과 계절을 알려 주는 앙부일구까지. 
사람들에게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알려 주고, 시간을 더 잘 쓸 수 있게 도와준 기구들을 지금부터 만나 보세요.


시계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시간을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하늘을 보고 알았습니다. 해, 달, 별이 움직이며 만들어 낸 무늬가 시간을 알려 줬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해, 달, 별을 오랫동안 관찰해 왔습니다. 해가 아침에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지는 모습을 보며 해가 한 번 뜨고 지면 하루가 지나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북극을 중심으로 시계의 반대 방향으로 도는 별들을 보며, 계절이 바뀌면 다른 별들이 보인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해, 달, 별의 움직임으로 시간의 흐름을 알았습니다. 

≪똑딱똑딱! 해, 달, 별≫ 전시는 옛날 사람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시간을 계산할 때 사용한 다양한 기구를 소개합니다. 특히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기구를 살펴봅니다. 해, 달, 별의 위치를 확인하는 혼천의, 별자리를 나타낸 천구의와 천문도, 시간과 계절을 알려 주는 앙부일구까지. 사람들에게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알려 주고, 시간을 더 잘 쓸 수 있게 도와준 기구들을 지금부터 만나 보세요.

mobile background

별자리와 별시계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았습니다. 별들을 연결해 모양을 만들고, 이름도 붙였습니다.

이를 별자리라고 합니다. 별은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했습니다. 별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다릅니다. 농부들은 별자리를 보고 언제 농사를 지을지 정했습니다. 

농사를 짓는 사람이 많던 옛날에는 별자리를 아는 것이 아주 중요한 지식이었습니다.

별은 종교와 예술에서도 중요했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별과 별자리를 신비롭게 생각했습니다. 

별과 행성의 움직임이 신의 뜻이라고 믿기도 했습니다. 별이 우주와 인간을 연결해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천문학이 발전하며 사람들은 별과 시간의 관계를 더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은 별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보는 다양한 기구를 만들었습니다.


별자리와 별시계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았습니다. 

별들을 연결해 모양을 만들고, 이름도 붙였습니다. 이를 별자리라고 합니다. 별은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했습니다. 별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다릅니다. 농부들은 별자리를 보고 언제 농사를 지을지 정했습니다. 농사를 짓는 사람이 많던 옛날에는 별자리를 아는 것이 아주 중요한 지식이었습니다. 별은 종교와 예술에서도 중요했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별과 별자리를 신비롭게 생각했습니다. 별과 행성의 움직임이 신의 뜻이라고 믿기도 했습니다. 별이 우주와 인간을 연결해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천문학이 발전하며 사람들은 별과 시간의 관계를 더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은 별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보는 다양한 기구를 만들었습니다.


전시 유물

혼개통헌의


만든 사람  유금

만든 때  조선 후기 (1787년)

보관된 곳  실학박물관

국가지정유산  보물

복제품

조선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천문시계입니다. 유금은 중국을 통해 전해진 서양의 천문시계 '아스트로라브'를 조선에 맞게 새롭게 바꿔서, 혼개통헌의를 만들었습니다. 이 유물에는 1개의 원판에 혼천설*과 개천설*이 모두 표현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별의 위치와 시간을 자세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유물을 보면 당시 조선이 수학과 천문학이 얼마나 발전된 나라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실학자: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공부하던 사람들. 

*혼천설 : 하늘과 땅이 달걀의 구조와 비슷하다고 상상했던 우주관. 달걀의 노른자 위치에 땅이 있고, 그 주위를 하늘이 달걀 껍데기처럼 둥글게 감싸고 있다고 생각했다. 

*개천설 : 땅 위에 하늘이 뚜껑처럼 덮고 있다고 상상했던 우주관. 별은 하늘에 매달려 있고, 하늘이 빙빙 돌고 있다고 생각했다. 

천구의


만든 사람  남병길, 실학박물관

만든 때  조선 후기, 2009년 재현

보관된 곳  실학박물관

재현품

천구의는 하늘을 둥근 공 모양으로 생각하고 별자리를 그린 천문 기구입니다.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서는 혼상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 유물은 조선 후기 천문학자 남병길이 쓴 책 『성경』을 보고, 실학박물관이 2009년에 만든 것입니다. 책에 나오는 별자리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람들이 사용한 별자리가 그려져 있습니다. 별자리의 위치를 알려 주기 위해 하늘을 적도*로 나누고, 해가 움직이는 길을 표시했습니다. 둥근 공 모양은 고리 모양의 자오환이 감싸 고정했습니다. 천구의를 돌리면 계절에 따라 다른 별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적도 : 지구를 가로로 반을 나누는 선.

금동천문도 


만든 사람  선화자

만든 때  조선 후기 (1652년)

보관된 곳  통도사 성보박물관

국가지정유산  보물

복제품

금동천문도는 북극을 중심으로 주위에 있는 별자리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총 481개의 별로, 100여 개의 별자리를 표시했습니다. 별자리의 모양과 위치는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와 비슷합니다. 별자리는 별과 별을 선으로 연결하였고, 별에는 구멍을 뚫어 진주로 장식했습니다. 덕분에 어두운 밤에도 손으로 만져 별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mobile background

전시 유물

혼개통헌의


만든 사람  유금

만든 때  조선 후기 (1787년)

보관된 곳  실학박물관

국가지정유산  보물

복제품

조선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천문시계입니다. 

유금은 중국을 통해 전해진 서양의 천문시계 ‘아스트로라브’를 조선에 맞게 새롭게 바꿔서, 

혼개통헌의를 만들었습니다. 이 유물에는 1개의 원판에 혼천설*과 개천설*이 모두 표현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별의 위치와 시간을 자세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유물을 보면 당시 조선이 수학과 천문학이 얼마나 발전된 나라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실학자: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공부하던 사람들. 


*혼천설 : 하늘과 땅이 달걀의 구조와 비슷하다고 상상했던 우주관. 달걀의 노른자 위치에 땅이 있고, 

그 주위를 하늘이 달걀 껍데기처럼 둥글게 감싸고 있다고 생각했다. 


*개천설 : 땅 위에 하늘이 뚜껑처럼 덮고 있다고 상상했던 우주관. 별은 하늘에 매달려 있고, 

하늘이 빙빙 돌고 있다고 생각했다.

천구의


만든 사람  남병길, 실학박물관

만든 때  조선 후기, 2009년 재현

보관된 곳  실학박물관

재현품


천구의는 하늘을 둥근 공 모양으로 생각하고 별자리를 그린 천문 기구입니다.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서는 혼상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 유물은 조선 후기 천문학자 남병길이 쓴 책 『성경』을 보고, 실학박물관이 2009년에 만든 것입니다. 

책에 나오는 별자리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람들이 사용한 별자리가 그려져 있습니다.
별자리의 위치를 알려 주기 위해 하늘을 적도*로 나누고, 해가 움직이는 길을 표시했습니다. 
둥근 공 모양은 고리 모양의 자오환이 감싸 고정했습니다. 천구의를 돌리면 계절에 따라 다른 별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적도 : 지구를 가로로 반을 나누는 선. 

금동천문도


만든 사람  선화자

만든 때  조선 후기 (1652년)

보관된 곳  통도사 성보박물관

국가지정유산  보물

복제품

금동천문도는 북극을 중심으로 주위에 있는 별자리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총 481개의 별로, 100여 개의 별자리를 표시했습니다. 별자리의 모양과 위치는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와 비슷합니다. 별자리는 별과 별을 선으로 연결하였고, 별에는 구멍을 뚫어 진주로 장식했습니다. 덕분에 어두운 밤에도 손으로 만져 별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실학박물관

The Museum of Silhak


실학박물관

The Museum of Silhak 


      instagram      youtube